중국엔 125% 관세, 동맹엔 90일 유예… 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발표한 상호관세 유예 조치가 전 세계를 들썩이게 만들고 있습니다. 그는 중국을 제외한 70여 개국에 대해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고, 기본관세율은 10%로 설정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무려 125%의 고율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초강경 입장을 취했죠.
그렇다면, 트럼프의 진짜 속내는 무엇일까요?
1. 금융시장 불안을 의식한 '브레이크'
최근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하고 증시가 요동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보호무역 강화 기조에 대한 시장 반발이 심화되었습니다. 관세 전면 도입이 시장 불안을 가속화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일단은 속도 조절에 나선 것입니다.
📝 포인트: "시장과의 타협"이라는 정치적 제스처
2. 동맹국 달래기용 카드
한국, 일본, EU 등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들이 강하게 반발하자, 트럼프는 전략적으로 "90일 유예"라는 시간을 벌며 협상 여지를 남겼습니다. 이는 동맹국들과의 외교 갈등을 최소화하면서도, 내부 지지층에겐 여전히 강경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는 묘수입니다.
🗣️ 예시: 한국은 이미 미국에 관세 면제를 공식 요청한 상태입니다.
3. 중국과의 선 긋기
트럼프의 진짜 타깃은 중국입니다. 미·중 무역전쟁 재점화를 통한 "강한 미국" 이미지 구축은 그의 대선 전략과 맞닿아 있습니다. 중국에는 단호한 자세를 취하면서도, 다른 국가에겐 시간을 주는 방식은 정치적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읽힙니다.
🚨 중국과의 긴장은 고조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대선용 ‘경제 카드’
이번 조치는 단순한 통상정책이 아닙니다. 트럼프는 이번 관세 전략을 통해 자국 제조업 보호를 내세우며 중산층과 러스트 벨트의 지지를 확보하려는 계산입니다. 동시에 글로벌 리더십을 강조하면서 국제무대에서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는 이중 포석입니다.
결론: 트럼프의 관세 유예는 ‘유화’가 아닌 ‘전략적 후퇴’
표면적으로는 완화된 조치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더 정밀하고 공격적인 계산이 숨어 있습니다. 유예라는 명분 아래 숨은 의도는, 동맹을 포섭하고 중국을 압박하며, 동시에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다지는 데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경제 흐름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 국채 뜻 알기 (0) | 2025.04.13 |
---|---|
관세폭탄, 트럼프의 의도는 뭐였을까? 쉽게 풀어보는 무역전쟁의 속사정 (0) | 2025.04.11 |